인사이트
SNS 콘텐츠 SEO 콘텐츠
동시에 진행해야 강해집니다
2025.06.22
디지털 SNS 콘텐츠 전문 연구소, 더콘텐츠연구소입니다.
오늘날 브랜드의 디지털 존재감을 구축하기 위해 많은 기업들이 인스타그램, 틱톡, 유튜브 등 다양한 SNS 채널 콘텐츠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브랜딩을 위한 감성적인 콘텐츠, 짧고 강렬한 숏폼 영상, 그리고 고객과의 친밀감을 높이는 스토리 기반 콘텐츠는 SNS에서 매우 효과적인 전략입니다.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것이 하나 빠져 있습니다.
"우리 브랜드는 얼마나 고객의 검색에 노출되고 있을까?"
SNS 콘텐츠와 SEO 콘텐츠는 상호 보완적인 전략입니다. SNS가 즉각적인 반응과 인게이지먼트를 유도하는 콘텐츠에 가깝다면, SEO 콘텐츠는 검색을 기반으로 고객의 구매 여정에 스며드는 콘텐츠 전략입니다. 즉, SNS는 '브랜드를 좋아하게 만드는' 장치에 더 가까우며, SEO 콘텐츠는 '브랜드를 찾게 만드는' 장치가 될 수 있습니다. SNS 콘텐츠와 SEO 콘텐츠 유형을 Mix 하면 온라인에서는 가장 효과적입니다.
특히 검색 유입 기반의 SEO 콘텐츠는 브랜드 인지 이후 '더 알아보고 싶은' 고객이 자발적으로 검색할 때 그 니즈를 충족시켜 줍니다. 이때 검색 결과에 우리 콘텐츠가 없다면? 브랜드의 설득 기회는 경쟁사에게 넘어갑니다. 그래서 SNS 콘텐츠와 함께 검색 기반 SEO 콘텐츠도 반드시 병행되어야 합니다. 이때 SNS 콘텐츠와 SEO 콘텐츠의 톤앤매너가 통일되는 것이 중요합니다.
SEO 콘텐츠는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하나는 유입형 콘텐츠. 잠재고객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로 문제 해결 콘텐츠, 개념 설명 글, 꿀팁 정리 등을 제작하여 검색 유입을 이끄는 방식입니다. 또 하나는 전환형 콘텐츠. 우리 제품이나 서비스가 어떤 문제를 해결하는지, 고객 사례나 기능 안내, 팀 인터뷰 등을 통해 설득하고 행동을 유도하는 콘텐츠입니다.
실제로 더콘텐츠연구소와 함께 진행한 뷰티 브랜드에서는 인스타그램에서 감성 브랜딩은 잘 하고 있었지만 검색 유입은 거의 없었습니다. 이에 따라 '비건 톤업크림', '21호 피부 톤업 지속력' 등으로 SEO 콘텐츠를 SNS 콘텐츠와 병행해 발행한 결과, 3개월 내 검색 유입 트래픽이 4배 이상 상승하며 구매 전환율도 함께 올랐습니다.
또 다른 사례로, IT 스타트업 브랜드는 SNS에서는 인지도가 낮았지만, 업의 특성상 SEO 콘텐츠에서 두각을 낼 수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이에 검색에 특화된 '구성원 간 협업툴 비교', 'B2B 000 도입 체크리스트' 콘텐츠를 통해 SEO 유입 기반 전환형 리드를 확보하며 유입을 만들고 있습니다.
이처럼 브랜드 SNS 콘텐츠가 고객의 감성을 두드린다면, SEO 콘텐츠는 고객의 필요를 해결하는 콘텐츠입니다. 둘 중 하나만으로는 부족하고, 이 두 가지 전략이 동시에 맞물릴 때 진정한 '콘텐츠 마케팅의 시너지'가 발생합니다. 다만, 업종마다 또는 브랜드가 처한 상황에 마다 다르게 적용될 수 있어 우리에게 맞는 콘텐츠 전략을 구성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디지털 시대의 마케팅은 고객을 단기 클릭으로 유인하는 것이 아니라, 고객의 검색 여정에 콘텐츠를 심어 장기적인 관계를 만드는 일입니다. 지금, 브랜드 콘텐츠 전략의 전환이 필요한 때입니다. 브랜딩과 SEO 콘텐츠는 '선택'이 아니라 '동시 실행'입니다.